블로그 이미지
그기 아이라 카드만 앱팀장

카테고리

.COM SENSE (139)
TEXT (30)
VIEW (23)
MOVIE (9)
LIFE (9)
SPORTS (5)
ISSUE (8)
SHORT (10)
WORDS (9)
DOCS (8)
KNOWLS (27)
Total
Today
Yesterday

오늘 시간이 나서 나와 관련된 검색어를 이용하여 구글링을 한 결과 해피캠퍼스라는 사이트에 올라온 리포트 중 하나가
나의 글을 참조하여 썼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일을 시작하면서 항상 생각해왔던 "누군가에겐 도움이 되는"이라는 모토가 현실로 온것같아
큰 보람을 느낄 수 있는 일이였다.

앞으로 더 많은 이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더욱 노력 하도록 해야겠다.

Posted by 앱팀장
, |

매력쟁이 개발자

SHORT / 2009. 5. 13. 09:19
사용자 삽입 이미지

from http://nuridol.egloos.com/


날씨에 영향을 받는 개발자..

개발을 하다보면 개발에 대한 "바이오리듬" 같은 것이 있다.
폭발적인 코드라인수를 자랑하는 날이 있는가 하면
단 한줄을 위해 하루를 소진하는 날도 있다.

여러가지 인자들이 존재하겠지만 날씨 또한 하나의 인자가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해본다.

개발자들의 유형을 여러가지 이다 꾸준하게 시간을 관리하며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성실형
시작단계에서 업무의 대부분을 작업하는 진압형
최종단계에서 업무의 대부분을 작업하는 폭발형
등등의 타입이 있겠다 ... 어느 유형이 좋은 가에 대해서는 감히 판단내릴수 있지만

이러한 유형을 떠나서 감성적인 개발자에게 매력을 많이 느낀다
"날씨가 A해서 오늘은 B를 하는게 어떨까?"라고 이야기 할수 있는 ...
Posted by 앱팀장
, |
사용자 삽입 이미지

Big Fat Cat의 세계에서 제일 간단한 영어책

영어 마스터에 대한 목표감은 여전한 모양이다. 아직도 영어 문법책을 한번쯤 끝까지 읽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곤할때가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손에 쥐고서 부터 끝까지 읽을수 있는 영문법책은 손에 꼽을 정도라고 생각한다.
보통은 중간쯤에서 포기하게 되거나 그때 그때 필요한 부분을 보게 되기 마련이기 때문이다.

그런의미에서 "포기하는 미학"을 배제하고 싶은 강한 열망을 가진 영어에 관심있는 사람들에게 권하고 싶다.

Short Expression
 -> 영어문장 이해법? 영어스럽게 이해하기? 미국인처럼 영어 이해하기?
Posted by 앱팀장
, |
 
Posted by 앱팀장
, |
2009-05-10 일단은 이수체계도라는 것에 대한 동문님들 혹은 교수님들의 의견을 듣고자
학과게시판에 글을 써서 알림을 하고 소개하는 과정을 가져 보았다

열렬한 리플이 달리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http://bment.inje.ac.kr/comm.asp?idx=4718

Posted by 앱팀장
, |

모토

SHORT / 2009. 4. 30. 22:16

Cogito ergo sum

The Pair is Navigator and Driver

의사소통의 비용

인간의 뇌구조에 맞는 문서작성법 - 마인드맵

문제해결 기법의 정규화 TRIZ

존재의 이유는 패러다임이다 - 약속과 이행- Make Normal_Sarasate

교육의 인덱스는 문화의 역할

돌부처의 심장을 뛰게하라

알레아 토릭

Knowledge Investment


너희 가운데 죄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 - Manifesto - 발트킨 더 가르텐, 마그나 이야기


지식의 여신은 쉽게 옷을 벗지 않는다 - JY in Bundang, Insomnia


 Keep your  friends close, and your enemy closer - 학습론


프로그래밍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언어는 알 가치가 없다


철학의 완성은 생활이며 그 과정은 실천이다.


정독의 시간 - 하룻 호랑이 개 무서운줄 모른다  - 비폭력대화, 계속모드

=> 위에 나열된 글의 공통점은....???

내 네이트 대화면이라는거다.
리뷰를 해보니 "참 생각많은 인간인가 보다"라는 생각이든다

Posted by 앱팀장
, |

SWOT분석

SHORT / 2008. 9. 30. 09:03

 SWOT분석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용되는 4요소를 강점·약점·기회·위협(SWOT)이라고 하는데, 강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강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약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기회는 외부환경에서 유리한 기회요인은 무엇인지, 위협은 외부환경에서 불리한 위협요인은 무엇인지를 찾아낸다. 기업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기업 외부의 기회와 위협을 대응시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SWOT분석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SO전략(강점-기회전략):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② ST전략(강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③ WO전략(약점-기회전략): 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④ WT전략(약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기업 자체보다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위협·기회·약점·강점(TOWS)으로 부르기도 한다.


문제 : 현재 업에서의 문제 발생으로 인해 현재 업을 계속 할 것인지, 귀향하여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려고 한다. 귀향을 할 경우 다시 같은 직종에 취업은 하지 않는다. 직장을 다닐 경우는 직장을 옮기려고 한다.

 

목적 : 귀향할 것인지의 여부

 

외부환경분석 :

Opportunities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Threats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내부환경분석

Strength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Weakness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8. 실행력이 낮아졌다.

9. 본인 개인 역량의 30%이하 업무를 하고 있다.

 

 

Opportunities

Threats

Strength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은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Weakness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결론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개인적으로 업에 관한 고민이 있을때 이렇게 문제의 중요성을 따질때도 사용될 수 있지 않을까?
전략이 아니라 중요가치를 가려낼 때 말이다.

Posted by 앱팀장
, |

근자엔..

SHORT / 2008. 5. 21. 22:25
바쁘고 정신 없다

이런 저런 핑계로 글쓰는 일을 소홀히 하고 있는 중이다
바쁘고 정신없고 ....
이럴땐 블로그가 아무래도 약인 모양이다
블로그에 글을 남길때마다 왠지 모르게 마무리하는 느낌이 드는것 같아
글쓰는 일이 즐거우면서도 한편으로는 아쉽울 따름이다.

근자에 들어 네이티브 쪽으로 전향하고 싶은 생각이든다
매니지드 코드도 나름대로의 매력이 있지만
네이티브가 주는 "상대적인 직업적 안정감"이라는 것이 있기 마련이다.

개발자로서 사회에 첫발을 들일때 많은 고민을 했던거 같다
시스템 프로그래밍이나 응용 프로그래밍이냐?
실은 정확히 나눠져 있지  않은 경계때문에 어느것을 하나 선택하지도 못하면서 말이다

지금 까지의 과정에 비추어 볼때 "실행력" 있는 프로그래머라면 어느쪽 길이든 오케이라고 생각한다.
Posted by 앱팀장
, |

자투리시간 활용

SHORT / 2008. 3. 1. 18:06
남는 시간은 업무에 사용하기 보다는
활용도를 생각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다

자투리시간을 업무에 할당하게 되면 오전과 오후로 사이에
생각적으로 정리해야 하는 부분이 정리가 되지 못하고
오후의 업무가 일그러지는 경우가 발생하기 십상이다
Posted by 앱팀장
, |

작업분배의 원칙

SHORT / 2008. 3. 1. 18:03

작업을 나눌때는
작업의 공수로 나누되
결과물을 예상하지 말고
작업자의 역량이 나타날수 있도록 분배한다

작업별로 영역이 독립적이어서
병행진행가능하도록 하고

중요한 것은 작업의 내용이 아니라
결과물과 작업룰이다

Posted by 앱팀장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