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 & 소프트웨어
실력, 투자비용. 인프라
축구에서 선수의 기량, 투자비용, 훈련 기간
엊그제 북한과 우리 나라 축구를 보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진정 저 팀이 2002년 월드컵 4강 팀이란 말이냐?"
꼽아보자
선수의 기량
: 해외 진출은 늘었으며 축구에 대한 높은 관심으로 인해 인적 자원이 늘어났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신체조건도 이제 세계적인 수준이다
게다가 박지성 등의 해외에서 활약하는 선수들의 등장은 아무래도 좋은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된다
투자비용
: 2002년 이전의 우리나라의 축구장은 잔디 없는 구장이 많았다 지금은 월드컵 경기장을 포함하여
각 학교에도 인조 잔디 및 잔디 구장이 생겨났다 흙땅에서 축구를 해서 발목이 굳었다는 건
아무래도 옛말인듯 보인다
훈련기간
: 소집기간이 문제가 되어 팀워크가 안좋았다는 것도 옛말인듯하다
무엇인 문제일까?
월드컵 당시의 히딩크의 감독법에 대해 처음으로 한일이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대한 대답이 기억난다
"선수들의 기량과 전술은 쌓으면 되는 것이고 지금도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그들에게 필요한것은 서로에 대한 신회이며 그를 위해서는 팀원간의 대화가 필요하다, 그러나 처음으로 대표팀을 맡았을때 선수들은 훈련이 끝나고 같이 밥을 먹을때도 대화를 하지 않았다"
결국 우리나라 선수들을 팀으로 만들기 위한 첫걸음은 대화였던것이다
소프트웨어 공학에서도 틀에 끼우는 소프트웨어 개발보다는 대화법 및 팀원간의 인터페이스를 조정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었으면 한다는 생각에서 몇 글자 남겨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