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로그 이미지
그기 아이라 카드만 앱팀장

카테고리

.COM SENSE (139)
TEXT (30)
VIEW (23)
MOVIE (9)
LIFE (9)
SPORTS (5)
ISSUE (8)
SHORT (10)
WORDS (9)
DOCS (8)
KNOWLS (27)
Total
Today
Yesterday

'.COM SENSE'에 해당되는 글 139건

  1. 2009.04.30 모토 1
  2. 2009.04.30 신화와 IT용어 1
  3. 2009.04.29 강한놈 똑똑한놈 멋있는놈 1
  4. 2008.10.21 자주가는 블로그에 올라온 재미난 글
  5. 2008.10.14 웹서비스와 소켓통신(클라이언트 비교) 1
  6. 2008.09.30 SWOT분석 1
  7. 2008.09.24 MBTI 테스트
  8. 2008.08.04 SI?
  9. 2008.08.01 교육의 효과
  10. 2008.07.03 랜디포시의 마지막 강의 1

모토

SHORT / 2009. 4. 30. 22:16

Cogito ergo sum

The Pair is Navigator and Driver

의사소통의 비용

인간의 뇌구조에 맞는 문서작성법 - 마인드맵

문제해결 기법의 정규화 TRIZ

존재의 이유는 패러다임이다 - 약속과 이행- Make Normal_Sarasate

교육의 인덱스는 문화의 역할

돌부처의 심장을 뛰게하라

알레아 토릭

Knowledge Investment


너희 가운데 죄없는 자가 먼저 저 여자에게 돌을 던져라 - Manifesto - 발트킨 더 가르텐, 마그나 이야기


지식의 여신은 쉽게 옷을 벗지 않는다 - JY in Bundang, Insomnia


 Keep your  friends close, and your enemy closer - 학습론


프로그래밍에 대해 생각하는 방식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언어는 알 가치가 없다


철학의 완성은 생활이며 그 과정은 실천이다.


정독의 시간 - 하룻 호랑이 개 무서운줄 모른다  - 비폭력대화, 계속모드

=> 위에 나열된 글의 공통점은....???

내 네이트 대화면이라는거다.
리뷰를 해보니 "참 생각많은 인간인가 보다"라는 생각이든다

Posted by 앱팀장
, |

신화와 IT용어

WORDS / 2009. 4. 30. 22:13

모든 분야가 그러하겠지만
IT 용어에도 신화에서 기원한 용어들이 많다.

이러한 용어가 명명된 배경을 알아가는것도 하나의 재미인것 같다 ㅋㅋ

케베로스

그리스신화에서 지옥의 문을 지키는 개.

본문
반인반수(半人半獸)의 괴물 티폰과 에키드나 사이에서 태어났다. 머리가 3개이고 꼬리는 뱀 모양이며 목 둘레에 살아 움직이는 여러 마리의 뱀 머리가 달려 있다. 오르토스와 하데스가 관장하는 지옥을 지키면서 산 사람이 들어오지 못하게 하고 죽은 자는 나가지 못하게 하였다고 한다.

아르고호의 모험에 참가한 오르페우스가 독사에 물려 죽은 아내 에우리디케를 되찾으려 지옥에 내려갔을 때 리라를 연주하여 케르베로스를 잠재운 뒤에 문을 통과했다고 하며, 헤라클레스는 12공업(功業) 중 마지막 공업을 쌓기 위해 케르베로스를 산 채로 잡아 지상으로 데려왔다고 한다. 예술 작품에서는 하데스와 함께 묘사되기도 하며, 안도키데스의 화가가 그린 루브르미술관의 《헤라클레스와 케르베로스》 등에서 그 모습을 볼 수 있다

데몬

그리스어(語)의 다이몬(daimon)에서 유래한 말.

본문
고대 그리스에서 다이몬은 신에 가까운 존재 또는 신과 인간과의 중간적 존재를 의미하였다. 이것이 나중에는 인간의 수호령(守護靈)으로서 능력이나 성격 등 인간의 신들린 상태 또는 부분을 나타내는 데 쓰였다. 그리스도교(敎)에서는 악령 ·악마 또는 이교(異敎)의 신을 가리키게 되었고, 근세에 와서는 인간의 심리적인 힘, 즉 자기가 지배할 수 없고 그 사람으로 하여금 이상한 행동을 하게 하는 무의식적이고 어쩔 수 없는 심리적인 힘을 데모니셰(Damonische)라고 표현하였다.

괴테는 창작에서의 이 힘을 강조, 천재를 나타내는 데 썼다. 한편 키르케고르는 데모니셰를 죄악감에 빠진 인간이 악(惡)에서 헤어나지 못한 채 선(善)에 대하여 품는 불안감이라고 설명하였다.
 


from NAVER

Posted by 앱팀장
, |

개발이라는 직종에 근무하면 이런 생각을 해본적이 많았던거 같다

"똑같은 목표를 두고 왜 이렇게 많은 언어들이 존재하는 걸까?"라는..

그들의 우위를 점쳐 볼수 없을 정도로 그들은 위대해 보인다

그래서 다른 곳에 대입해서 생각해 본적이 있다..

다른게 아니라 사람 말이다.


학창학교 시절의 핫이슈 :  쌈짱은 누구인가?
=> 강한놈

대학교 시절의 핫이슈 :  누가 술을 잘 마시는가?(대학 초반) 누가 똑똑한가?(중반 이후)
=> 똑똑한놈

대학교 졸업 이후 핫이슈: 누가 멋있게 사는가?
=> 멋있는 놈(종합적으로)

나의 인물 데이터베이스에는 세가지 조건에 각각의 인물이 포진해있는것 같다.

결론:
일반적으로 상품을 비교하는 것과 언어에 대한 인식은 다른 기준인것 같다.
그리고 선택의 문제에도 그리 해당하지는 않는것 같다.

다만 기술의 발달사와 함께 살아 숨쉬는 가치의 결론이라고 생각해보니
그것을 이루어낸 선배들의 위대함을 느낄 뿐이다.

여태 개발자로서 이런 다양한 언어들을 접해본것으로도 충분히 개발자로서의 삶에 만족할수 있을것 같다.

Posted by 앱팀장
, |

* 학사 석사 박사 있다고 코딩 잘 하는 거 아니다.    
* 경험과 코딩실력이 비례 할 거 같은데, 날고 기는 놈은 고졸 스무살에도 시니어 개발자 뺨칠 수 있다.
* 저녁 늦게 네시간 동안 끙끙거리던 버그, 다음날 아침 오분만에 찾는다.
* 기본 상식있고 기본 머리 있고 지가 알아서 공부할 줄 아는 초보가 교과서 대강 파고 학원 다녀서 취직한 경력 3년차보다 발전 속도는 훨씬 빠르다.
* 진짜 안 되는 애는 어떻게 해도 안 된다.
* 못 하는 애라도 가르쳐서 쓰지 하다가 걔 월급을 아낀 거 몇 배로 사고치는 경우 종종 있다.
* 한 팀 (10명 이하)에서 일 잘 하고 웬만한 문제 해결 가능한 개발자는 한둘을 넘지 않는다.
* 일찍 출근하고 늦게 퇴근한다고 일 잘하는 거 아니다.
* 일 잘 한다고 연봉 오르거나 승진되는 거 아니다.
* 아주 잘 하는 개발자 하나가 그저 그런 개발자 열보다 낫다.
* 근데 그런 개발자가 떠나면 새되는 거다.
* 근데 그런 개발자는 떠날 확률이 많다 왜냐면:
    - 실력있는 건 윗사람들이 안 알아준다.
    - 옷차림 불량, 출퇴근 시간 불량, 태도 불량 등등으로 찍혀있기 일쑤다.
    - 실력있는 사람보다 출근 일찍 하고 퇴근 늦게 하고 윗사람들한테 잘 하는 편이 훨씬 더 쉽게 인정받는다.
    - 일을 제대로 하는 사람보다 대강 빨리 치우는 사람들이 더 실력있다고 인정받는다 (유지 보수는 지가 안 할 거면서)
* 그러다가 떠나려고 하면 화들짝 놀라면서 왜 떠나냐고 묻는다. 말 해도 안 들을 땐 언제고 -_-;
* 열라 심오한 문제라고 고민하고 있었는데 알고 보니 세미콜론, 점 하나, 괄호 하나 에러여서 쪽팔려서 고백 안하고 넘어간 적 있다.

* 고객님의 심경변화 및 변경 요구의 확률은 내일 아침에 동쪽에서 해가 뜰 확률과 비슷하다.
* 매니저가 보기엔 개발자들 일만 하면 되는데 왜 그걸 못하는지 이해를 못하고, 개발자들은 일도 안 하는 것들이 월급은 왜 글케 많이 받는지 이해를 못한다.
* 아무리 시간을 넉넉히 잡아도 모자란다.
* 근데 아주 타이트하게 잡으면 대강 되기도 한다.
* 그러다가 피보는 수가 있다.
* 근데 넉넉히 잡았다고 해서 일을 제대로 한다는 건 아니다. 


from   http://theonion.egloos.com/
하루에 한번은 방문하게 되는 양파님의 블로그에서 발췌한글입니다.

Posted by 앱팀장
, |

웹서비스 방식의 호출

ex> WebServiceName.WebMethodName(Parameter1)


웹참조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웹서비스 정보(자동으로 생성)

 public WebServiceName() {
            this.Url = "http://111.111.111.111:0000/WebServiceName.asmx";
        }
<= 호출하려는 웹서비스 주소와 포트번호와 웹서비스명 정보

 

웹참조 파일에 설정되어 있는 웹메소드 정보(자동으로 생성)
[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DocumentMethodAttribute("http://111.111.111.111:0000/WebMethodName", RequestNamespace="http://111.111.111.111:0000/", ResponseNamespace="http://111.111.111.111:0000/", Use=System.Web.Services.Description.SoapBindingUse.Literal, ParameterStyle=System.Web.Services.Protocols.SoapParameterStyle.Wrapped)]
<= 호출하려는 웹메소드의 웹서비스 정보와 Request/Response를 주고 받을 웹주소와 포트 정보
        public type WebMethodName(type Parameter1) {
            object[] results = this.Invoke("WebMethodName", new object[] {
                        Parameter1});
            return ((type)(results[0]));
        }
<= 호출하려는 웹 메소드의 형식(매개변수의 타입과 갯수, 리턴값의 타입 지정)


소켓통신 방식의 호출

: 바이트 스트림기반의 호출이므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주고 받는 데이터의 크기를 정의.
        byte[] Parameter = new byte[1024];
: 전송하는 Parameter의 크기를 코드에서 정의
        byte[] returnValue = new byte[1024];
: 리턴받는 리턴값을 받을의 크기를 코드에서 정의
        IPAddress ipaddr = IPAddress.Parse("111.111.111.111");
: Socket에 설정할 서버주소 코드에서 정의
        IPEndPoint endpoint = new IPEndPoint(ipaddr,:0000);
: Socket에 설정할 포트번호 코드에서 정의
        csocke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 ProtocolType.Tcp);
: 서버주소의 형식, 전송의 형태, 프로토콜을 정의
        csocket.Connect(endpoint);
: 지정한 서버주소로 연결
        if (csocket.Connected)
: 연결 성공시
        {

   try
   {
    sData = System.Text.Encoding.UTF8.GetBytes(msg);
: 바이트 데이터를 인코딩(서버, 클라이언트 인코딩방식을 같게 설정하여야 함)
    csocket.Send(Parameter);
: 데이터 전송
    int rtnMsgLen = csocket.Receive(returnValue);
: 소켓에 저장된 리턴값을 수신
    rtnMsg = Encoding.Default.GetString(returnValue);
: 바이터 데이터인 리턴값을 디코딩

   }
   catch (Exception e)
   {
    inputStr = e.ToString(); ;
   }
   finally
   {
    csocket.Close();
: 컨넥션 종료
   }
        }
        else
        {
            rtnMsg = "N";
        }

        return rtnMsg;

Posted by 앱팀장
, |

SWOT분석

SHORT / 2008. 9. 30. 09:03

 SWOT분석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용되는 4요소를 강점·약점·기회·위협(SWOT)이라고 하는데, 강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강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약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기회는 외부환경에서 유리한 기회요인은 무엇인지, 위협은 외부환경에서 불리한 위협요인은 무엇인지를 찾아낸다. 기업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기업 외부의 기회와 위협을 대응시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SWOT분석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SO전략(강점-기회전략):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② ST전략(강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③ WO전략(약점-기회전략): 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④ WT전략(약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기업 자체보다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위협·기회·약점·강점(TOWS)으로 부르기도 한다.


문제 : 현재 업에서의 문제 발생으로 인해 현재 업을 계속 할 것인지, 귀향하여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려고 한다. 귀향을 할 경우 다시 같은 직종에 취업은 하지 않는다. 직장을 다닐 경우는 직장을 옮기려고 한다.

 

목적 : 귀향할 것인지의 여부

 

외부환경분석 :

Opportunities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Threats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내부환경분석

Strength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Weakness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8. 실행력이 낮아졌다.

9. 본인 개인 역량의 30%이하 업무를 하고 있다.

 

 

Opportunities

Threats

Strength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은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Weakness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결론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개인적으로 업에 관한 고민이 있을때 이렇게 문제의 중요성을 따질때도 사용될 수 있지 않을까?
전략이 아니라 중요가치를 가려낼 때 말이다.

Posted by 앱팀장
, |

MBTI 테스트

WORDS / 2008. 9. 24. 16:13

ISTJ(세상의 소금형) - 한번 시작한 일은 끝까지 해내는 사람들

ISTJ(세상의 소금형)
1. 신중하고 조용하며 집중력이 강하고 매사에 철저하며 사리분별력이 뛰어남
2. 실제 사실에 대하여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기억하며 일 처리에 있어서도 신중하며 책임감이 강함
3. 집중력이 강한 현실감각을 지녔으며 조직적이고 침착함
4. 보수적인 경향이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데 과거의 경험을 잘 적용하며, 반복되는 일상적인 일에 대한 인내력강함
5. 자신과 타인의 감정과 기분을 배려하며, 전체적이고 타협적 방안을 고려하는 노력이 때로 필요함
6. 정확성과 조직력을 발휘하는 분야의 일을 선호함. 즉 회계, 법률, 생산, 건축, 의료 사무직, 관리직 등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위기상황에서도 안정되어 있음


신중하고 조용하며 집중력이 강하고 매사에 철저하며 사리분별력이 뛰어나다.

실제 사실에 대하여 정확하고 체계적으로 기억하며 일 처
리에 있어서도 신중하며 책임감이 강하다. 집중력이 강한
현실감각을 지녔으며 조직적이고 침착하다. 보수적인 경향
이 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데 과거의 경험을 잘 적용하며,
반복되는 일상적인 일에 대한 인내력이 강하다. 자신과 타
인의 감정과 기분을 배려하며, 전체적이고 타협적 방안을
고려하는 노력이 때로 필요하다. 정확성과 조직력을 발휘
하는 분야의 일을 선호한다. 즉 회계, 법률, 생산, 건축, 의
료, 사무직, 관리직 등에서 능력을 발휘하며, 위기상황에서
도 안정되어 있다.

* 일반적인 특성 *
 
오래된 조직을 좋아한다
부하직원을 부모와 자녀관계같이 돌보려고 한다
선입견이 강하다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나서기를 주저한다
지나고 난 다음에 따지는 편이다
주어진 업무나 책임을 끝까지 완수한다
우리나라에서는 장남 같다, 장녀같다 라는 소리를 잘 듣는다
변화에 적응이 더디다
원리 원칙적이다
교통체증을 미리 계산해서 약속시간을 지킨다
이유없이 돌아다니지 않는다
대인관계 폭이 자꾸 좁아지고 대신 할 일이 늘어 난다
실수 한 것을 참지 못하고 즉각 수정하기를 원한다
남들이 속을 모른다라고 말함
틀에 박힌 규칙적인 일을 좋아한다
휴일에도 집에서 주로 지낸다
평소에 많이 참다가 폭발하면 상당히 무섭다
논리적, 합리적이지 않으면 인정하지 않음 웃음이 적다
반대성향을 지닌 사람과 처음에는 원만히 지내나 결국 멀어짐
잘못했다는 건 인정하면서도 미안하다, 잘못했다는 말을 잘 못한다
정리정돈을 해 놓는 것이 우선이다
직설적인 표현을 많이 하는 편이다


* 개발해야할점 *
 
 얼굴 표정이 변화가 없어서 사람들 처음 대할 때 힘들어 할 수 있기 때문에 먼저 말을 붙이고, 웃는 연습이 필요 
 평소에 꼭 필요한 말만하기 때문에 분위기를 썰렁하게 만들 수 있으므로 유머가 필요 
 공휴일에 집에 있기보다는 가족과 함께 나들이가 필요
Posted by 앱팀장
, |

SI?

TEXT / 2008. 8. 4. 10:32
System Integration~!
시스템 통합

우리네 소프트웨어 현장에서도 적합한 말인가? 라는 생각이 든다
말 자체를 놓고 봤을때 시스템 통합이란 모듈단위의 집합들을 비지니스 영역에 맞게
비지니스단에서 규합하고 조정해 나가는 단계라고 생각된다.

하지만 우리네 SI라는게 워낙에 낮은 가격에 이루어 지기때문에 마감시간과의 싸움이 되기 일수다
오히려 부정적인 의미도 가지고 있어 보인다

"몇 달 고생해야 하는것"이라는 식으로 말이다

스코프를 잠시만 돌려보면 요즘 한창 업계에서 진행중인 차세대에 관한 내용을 살펴보자
차세대 정보시스템에 대한 요구가 발생하고 있으며 현재 시스템에서 변화하여야 할것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업계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발생하고 있다.

하지만 MS 위주의 패러다임을 따라가던 기업들은 .net이라는 패러다임으로 인해 딜레마에 빠져 가고
있을 거란 생각이 든다 UX와 보안 및 시스템 성능은 어느정도의 비대칭 관계이며
트레이드 오프 해야 하는 프로젝트 요소 들이다

즉, "UX의 화려함 및 편리함을 위해 우리가 포기해야 할 요소"들이란 얘기다

그러나 이러한 패더다임 속에서 우리네 개발자들의 역할이란게 있고 보람이란게
꽃핀다는 생각이 든다

고객의 요구사항을 적용하는 SI 단계 에서 말이다
차세대 정보시스템의 정형화가 이루어지기 전에 우리 현실에 맞는 차세대 시스템에 대한 정의를 할 수 있는
용단이 필요할 때라 생각한다.

언제까지 새로움에 대해 앞선 단계를 밟기만 하여 IT 강국이라는 오명을 받을순 없다고 생각한다
Posted by 앱팀장
, |

교육의 효과

TEXT / 2008. 8. 1. 11:29

학창시절의 나는 교육이라는 체계에 대해
사람들을 부어 넣는 깔때기 같은것이라 생각했다

넓은 윗면에 사람들을 부어 넣으면
사회적인 적합성에 부합되는 존재가 되어
좋은 아랫면으로 나오는 깔때기 말이다

그러나 최근의 발트킨더 가르뎅....


작성중

Posted by 앱팀장
, |

46살의 랜디 포시 교수는 췌장암 말기 선고를 받고 퇴임이 예정되어있는 상황에서 마지막 강의를 하게 됩니다.


http://video.google.com/videoplay?docid=-5700431505846055184
       

 

-Carnegie Mellon 대학 Computer Science과의 랜디 포시 (Randy Pausch) 교수-

 

포시 교수의 인생 강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준비된 사람이 되세요. 행운은 준비와 기회가 만났을 때 오는 것입니다.

그래도 뭔가 일을 망쳤을 땐 사과하세요.

만약 당신이 잘못해도 아무도 야단치지 않는다면 그곳은 당신에게 좋은 곳이 아닙니다.

경험이란 당신이 원하는 것을 얻지 못했을 때 (그 과정에서) 얻게 되는 것입니다.

벽은 깨라고 있는 것이니 포기하지 말고 도전하세요.

물고기가 물을 찾듯 재미(Fun)를 추구하세요.

아이들이 괴짜 같은 뭔가를 원한대도 그대로 내버려 두세요. 그들은 아무것도 망치지 않아요.

당신이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 집중하세요.

모든 이에게서 가장 좋은 점을 찾아내세요.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세요.

여러분이 삶을 제대로 이끌어 나간다면 운명(Karma)은 당신을 당신의 꿈으로 인도해 줄 것입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말로 강의를 마칩니다.

 

"오늘 이 강의는 사랑하는 내 세 명의 아이들을 위해 남깁니다."

Posted by 앱팀장
, |

최근에 달린 댓글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