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WOT분석
어떤 기업의 내부환경을 분석하여 강점과 약점을 발견하고, 외부환경을 분석하여 기회와 위협을 찾아내어 이를 토대로 강점은 살리고 약점은 죽이고, 기회는 활용하고 위협은 억제하는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 것을 말한다.
이때 사용되는 4요소를 강점·약점·기회·위협(SWOT)이라고 하는데, 강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강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약점은 경쟁기업과 비교하여 소비자로부터 약점으로 인식되는 것은 무엇인지, 기회는 외부환경에서 유리한 기회요인은 무엇인지, 위협은 외부환경에서 불리한 위협요인은 무엇인지를 찾아낸다. 기업 내부의 강점과 약점을, 기업 외부의 기회와 위협을 대응시켜 기업의 목표를 달성하려는 SWOT분석에 의한 마케팅 전략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① SO전략(강점-기회전략):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② ST전략(강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기 위해 강점을 사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③ WO전략(약점-기회전략): 약점을 극복함으로써 시장의 기회를 활용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④ WT전략(약점-위협전략): 시장의 위협을 회피하고 약점을 최소화하는 전략을 선택한다.
학자에 따라서는 기업 자체보다는 기업을 둘러싸고 있는 외부환경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위협·기회·약점·강점(TOWS)으로 부르기도 한다.
문제 : 현재 업에서의 문제 발생으로 인해 현재 업을 계속 할 것인지, 귀향하여 새로운 생활을 시작할 것인가를 결정하려고 한다. 귀향을 할 경우 다시 같은 직종에 취업은 하지 않는다. 직장을 다닐 경우는 직장을 옮기려고 한다.
목적 : 귀향할 것인지의 여부
외부환경분석 :
Opportunities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Threats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내부환경분석
Strength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Weakness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8. 실행력이 낮아졌다.
9. 본인 개인 역량의 30%이하 업무를 하고 있다.
|
Opportunities |
Threats |
Strength |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는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지속적으로 현재업에 관해 관철적으로 대응해온 것이 강점이다.
2. 현재 경력이 3년차로 경력에 맞게 의지적으로 해온 것이 강점이다.
4. 학습에 관한 열정을 가지고 있으며 지속적인 발전을 개인적으로 요구하는 것이 강점이다.
5. 업무에 있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업무방식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6. 컨텐츠 보다는 템플릿을 선호하는 편이어서 특정 업무와 친밀도가 낮은 것이 강점이다.
7. 내적 지식역량이 외적 지식역량보다 강해 성숙한 업무진행이 가능한 것이 강점이다.
8. 업에 대한 성실성이 좋아 지속성에 의한 충실성이 있은 것이 강점이다.
9. 기반 지식에 대한 희소성을 가지고 있어 성장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 강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3. 인적 인프라에 대한 요구도가 높으며 그에 대해 높은 활용 능력이 강점이다.
|
Weakness |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3. 가족과의 친밀도를 높일 수 있는 기회를 가진다
|
1. 가족사에 있어 생긴 상황이 위협적이다.
2. 현재 회사의 안정성이 떨어져 회사적 차원의 위기이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1. 현재 업과의 동떨어져 있는 업을 지원하는 것이 약점이다.
7. 특화 영역이 없어 특정 업무에 할당 받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2. 현재 직장 내에서 특화 영역에 대해 인정 받지 못한 것이 약점이다.
3. 현재 직장에서 입지가 좁으며 위치상 고립되어 있는 것이 약점이다.
4. 인적 기술이 약하여 현재 인적 자원을 활용하지 못하는 것이 약점이다
5. 대인관계에 대한 스트레스성 고충이 많아 내적으로 많은 고민을 하는 것이 약점이다.
6. 현상황에서는 공존감을 느끼는 자원이 없어 역할 모델이 없는 것이 약점이다.
|
결론
1. 새로운 환경에서 현재 자신의 관행을 깰 수 있는 기회가 생긴다.
2. 현재의 낮은 인적 인프라 벗어나 높은 인프라의 기회를 가진다.
3. 현재 회사에 대한 신뢰도가 30%로 실추되어 지속적 활동에 위기이다
4. 현재 회사의 인적 자원의 인프라가 좋지 못하며 활용도가 낮아 인적 관리에 있어 위기이다.
개인적으로 업에 관한 고민이 있을때 이렇게 문제의 중요성을 따질때도 사용될 수 있지 않을까?
전략이 아니라 중요가치를 가려낼 때 말이다.